FAQ

삼성 SDI의 배터리는 생산 공급처가 어디인가요?
삼성 SDI의 제품에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삼성 SDI의 배터리 cell은 말레이시아, 중국,  한국 (천안, 울산)에 생산 거점이 위치해 있으며, 배터리 pack은 중국에 생산 거점이 있습니다.
삼성 SDI의 제품을 직접 볼 수 있을까요?
삼성 SDI는 매년 다양한 엑스포와 전시에 참가하고 있습니다. 좀 더 상세한 전시 관련 정보를 원하시면 '전시' 메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삼성 SDI의 배터리 cell의 가격을 받을 수 있을까요?
삼성 SDI의 제품에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배터리 cell의 가격은 종류와 사양에 따라 매우 다양해 질 수 있으니 고객님께서 원하시는 제품 종류와 사양을 battery@samsung.com으로 보내주시면 해당 지역의 영업 담당자가 연락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삼성 SDI의 배터리 cell 샘플을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삼성 SDI의 제품에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삼성 SDI의 배터리 cell 샘플을 받기 위해서는
CET (Customer Environment Test)라고 불리는 내부 절차를 거치신 후 샘플 제공이 가능합니다.
CET에 관해 추가 문의가 있으시면 battery@samsung.com으로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삼성 SDI의 배터리 cell을 구입하고 싶습니다. 어디서 살 수 있나요?
삼성 SDI의 제품에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당사는 한국을 비롯하여 전세계 7개국에 판매거점을 두고 있습니다.
battery@samsung.com으로 고객님의 지역과 원하시는 제품을 알려주시면 해당 지역의 영업 담당자가 연락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어떻게 하면 재생가능에너지(Renewable Energy) 프로그램에 참여 할 수 있나요?

여러분의 주택 지붕 위에 태양전지판넬을 설치하는 것 이외에도, 여러나라에서 "그린에너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우리나라에서도 태양광, 풍력, 소수력, 조력, 바이오매스 등 재생가능 에너지원에 의하여 생산된 전기를 구매할 수 있는 날이 조만간 올 것 입니다. 문제는 국내에서 재생가능 에너지 부존자원이 별로 없거나 재생가능에너지가 원자력에 비해 너무 비싸서 그리고 기술수준이 낮아서 현실성이 없다고 하는 주장들에 대한 무지와 편견을 일깨우는 것이 우선입니다.

첫째로, 국내에 이용가능한 재생가능에너지 자원량은 충분합니다.
에너지기술연구원이 펴낸 자료를 바탕으로 이용가능한 재생가능에너지 발전자원량을 추정한 바에 의하면 태양광발전, 풍력발전, 소수력발전, 조력발전 등의 가용자원량만 개발해도 연간 발전량이 현재 전력수요의 절반인 155 TWh(×1012 Wh) 달합니다. 
태양광 발전의 경우, 국내 주요 16개 전지역(1982-2001)에서 측정된 1일 수평면 전일사량은 3,065 kcal/m2 정도입니다. 현재 총 건물 면적의 1%에 태양전지 설치가 가능하다 가정하고 이를 근거로 현재 국내에 보급 가능한 태양광발전 가용자원량을 추정하면 약 33,600 MW에 이릅니다. 건물의 보급 잠재량이 31,959 MW이며, 유지(저수지)에서 1,595 MW, 도로 등에서 46 MW를 기대할 수 있어 이렇게 태양전지를 설치할 경우 연간 발전량은 38 TWh로 현재 전력수요의 13% 정도를 충당할 수 있습니다.



둘째, 재생가능에너지의 비용은 급속히 낮아지는 반면 원자력의 총비용은 갈수록 높게 평가된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시장 가격으로만 보면 재생가능에너지는 원자력에 비해 당분간은 비쌀 것입니다. 그러나 그리 멀지 않은 미래에 시장에서도 재생가능에너지는 원자력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될 것 입니다. 특히 원자력에 대한 직간접적인 보조와 지원이 사라지고 원자력 이용에 따른 사회적 비용이 일부라도 가격에 반영된다면 재생가능에너지와 원자력의 가격경쟁력 역전은 더욱 빨라질 것입니다.


태양광발전의 경우, 생산규모와 기술개발 향상으로 2010년 경에는 다른 전력원들과 대등한 가격경쟁력을 가진 와트(W)당 1달러 정도로 소비자들에게 공급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근래에 들어 플라스틱 태양전지 혹은 유기 태양전지란 말을 많이 듣는데 무엇인가요?
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로 알려져 있으나, 1970년대 Heeger, MacDiarmid, Shirakawa (2000년 노벨화학상 수상) 교수 등이 전기를 통하게 하는 전도성 유기고분자(conducting 폴리머)를 발견했습니다. 1990년대 초에는 영국 캠브리지 대학에서 전도성 고분자의 반도체적인 성질을 이용하여, 일정 전압을 가하면 빛을 내는 발광소자를 선보였습니다.
이와는 반대로 빛을 받으면 전기를 발생시키는 성질을 나타내는 소자도 가능한데, 이것을 이용한 것이 바로 플라스틱 태양전지입니다.
기존의 태양전지는 보통 컴퓨터칩의 재료로 사용되는 실리콘 결정으로 만듭니다. 그에 반해 고분자 유기재료는 가공하기 쉽고 가공원가도 훨씬 저렴한 편입니다. 그러나 전자가 플라스틱 태양전지 내의 구불구불한 경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태양 에너지의 97%는 소실되고 맙니다. 현재의 플라스틱 태양전지의 효율은 실리콘 태양전지의 1/5 수준이어서 상용화를 위해서는 많은 연구가 더 필요합니다.
태양광발전으로 인류가 사용하고 있는 에너지를 얼마나 충당할 수 있습니까?
지표면에 도달하는 태양에너지의 총량은 초당 1.7×1017 와트(W)이고, 2003년 인류가 소비하는 에너지는 1.4×1013 와트(W)입니다. 그러므로, 현재 인간이 소모하는 것의 1만 2천배의 에너지가 태양으로부터 지구에 도달하게 됩니다. 태양전지의 변환효율은 입사된 태양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는 비율을 의미하고, 현재 상업용 태양전지의 변환효율은 15% 정도입니다. 변환효율 15%의 태양전지로 지표에 도달하는 태양에너지를 모두 전기로 변환한다면 2.5×1016 와트(W)가 되는데, 이는 전체 인류가 소모하는 총 에너지량의 1800 배가 됩니다.
다시 말하면, 태양전지로 지구에 입사되는 태양에너지의 0.056%(사하라 사막의 1/4에 태양전지 설치 시 얻을 수 있음)만 전기로 변환하면 인류가 사용하는 모든 에너지를 충당할 수 있게 됩니다. 
태양광발전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 말씀해 주세요.
장점에 대해서 먼저 말씀 드리겠습니다.
1) 우선 에너지 원(태양)이 광대하고 근본적으로 무한합니다.
2) 기존의 에너지원(석유, 석탄, 원자력 등)에 비하면 온실가스 방출, 연소물 방출 그리고 방사선 폐기물이 없습니다.
3) 작동시키는데 비용이 필요 없습니다.
4) 움직이는 기계 부품이 없습니다.
5) 상온에서 작동합니다. (높은 온도나 부식 또는 안전 이슈가 없습니다.)
6) 높은 신뢰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명이 20년 이상)
7) 빠른 설치가 가능합니다.
8) 새로운 또는 기존의 빌딩구조와 쉽게 어우러져 설치가 가능합니다.
9) 모듈화되어 규모를 쉽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제 단점에 대해서 말씀 드립니다.
1) 에너지원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2) 다른 기존의 전력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설치 비용이 높습니다.
차세대 에너지는 흐린 날이나 비오는 날에는 어떤 영향을 받나요.?

지표면에 입사하는 태양광의 세기는 계절, 날씨, 그리고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변합니다.
상식적으로 주간에는 발전을 할 수 있지만, 야간에는 발전을 할 수 없게 됩니다. 이를 위해 두 가지 해결 방법이 있습니다.

첫째는 전력저장시스템(예로, 축전지)을 설치하여 주간에 쓰고 남은 전기를 저장하였다가 야간에 쓰는 것입니다.
둘째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전력선에 맞물려 쓰는 것입니다. 그러면 날씨가 고르지 않아 태양전지에 의한 발전이 충분치 않을 때는 전력회사에서 공급하는 전기를 사다 쓰고, 태양광으로 발전한 전기가 충분할 때는 되파는 식으로 하여 해결이 가능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법규가 정비되지 않아 이런 방식을 널리 실용화하지 못하고 있지만 일본, 유럽과 미국 등의 여러 나라에서 이런 방식을 채택하여 태양광발전을 아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지표면에 입사하는 태양광의 세기는 계절, 날씨, 그리고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변합니다.
상식적으로 주간에는 발전을 할 수 있지만, 야간에는 발전을 할 수 없게 됩니다. 이를 위해 두 가지 해결 방법이 있습니다.
첫째는 전력저장시스템(예로, 축전지)을 설치하여 주간에 쓰고 남은 전기를 저장하였다가 야간에 쓰는 것입니다.
둘째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전력선에 맞물려 쓰는 것입니다. 그러면 날씨가 고르지 않아 태양전지에 의한 발전이 충분치 않을 때는 전력회사에서 공급하는 전기를 사다 쓰고, 태양광으로 발전한 전기가 충분할 때는 되파는 식으로 하여 해결이 가능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법규가 정비되지 않아 이런 방식을 널리 실용화하지 못하고 있지만 일본, 유럽과 미국 등의 여러 나라에서 이런 방식을 채택하여 태양광발전을 아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태양전지에서 발생한 전기에너지는 어디에 저장하나요 ?
태양전지는 전자, 혹은 전기(전자의 이동을 전기라고 합니다)를 발생시키는 반도체 소자 입니다. 그러므로 자체적으로 전자를 저장할 수 있는 능력은 없습니다.
전기에너지라는 것은 전자가 이동할 때 생기는 에너지인데 태양전지는 전자가 이동할 수 있는 조건만 제공할 뿐 이의 축적을 위해서는 별도의 전기에너지 축적수단이 필요합니다.(축전지, 이차전지, 연료전지용 연료인 수소의 생산 등.)
태양전지를 사용하면 실내 조명으로도 전기를 얻을 수 있나요?

백열등, 형광등 같은 조명에서도 태양전지는 구동이 가능합니다.
단지 태양전지가 최대로 발전할 수 있는 전력의 수백 분의 일 밖에는 생산하지 못합니다. 태양전지는 말 그대로 태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어 주는 소자입니다. 그러나 태양빛 스펙트럼(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 등) 중에서, 특히 가시광선 영역내의 일부만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모든 백색 조명등은 전 영역의 가시광선을 방출하지만 그 세기가 태양에 비해서 현저히 낮기 때문에 태양전지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전기에너지는 낮습니다.
따라서 실내 조명 하에서는 전력소모가 적은 계산기 등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태양전지효율은 무엇입니까? 그리고 효율을 나타내는 숫자는 왜 범위가 넓은가요 ?
태양전지는 입력(태양에너지) 대 변환 출력(전기에너지)의 비로 특징 지워집니다.
이것을 광전변환효율, 간단히 효율이라고 합니다. 효율은 퍼센트(%)로 나타납니다. 태양전지의 효율은 태양전지의 원재료와 태양전지를 만드는데 사용한 기술에 의하여 결정됩니다. 상업적으로 흔히 볼 수 있는 태양전지의 효율은 5%에서 17%정도 입니다. 태양전지 시장의 대부분은 벌크 실리콘 태양전지로 구성되어 있고, 연구소 스케일에서 효율이 25%에 이릅니다. 우주용으로 사용하려면 효율이 더욱 중요합니다. 이 경우 복잡한 적층구조와 특별한 원재료를 사용하여 효율이 33%에 이릅니다. 가장 이상적인 경우의 조건과 물질을 사용했을 때 이론적으로 얻을 수 있는 태양전지의 최대 효율은 86%입니다. 그러나 현재 기술 수준 하에서 얻을 수 있는 이론적인 효율은 잠재적으로 50% 정도입니다. 
태양광과 태양열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려 주세요.
태양빛(sunlight) 혹은 태양에너지(solar energy)를 유용한 다른 에너지로 바꾸어 주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태양빛을 열(heat)로 바꾸어 주는 것인데 이것을 건물 난방에 적용하면 태양열주택이라고 합니다. 일반 사람들이 태양전지 혹은 태양광(발전)이라고 하면 흔히 접할 수 있는 태양열주택을 떠올리지만, 태양광과 태양열은 전혀 다른 개념입니다.
태양열주택은 태양에너지를 열의 형태로 집열판에 모아 물을 데워 온수나 난방에 사용하는 것이고, 태양전지 혹은 태양광발전은 태양광(빛) 혹은 태양에너지를 중간 과정없이 직접 전기(에너지)로 바꾸어 주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태양광(빛)을 전기로 바꾸어 주는 소자를 태양전지(solar cell) 또는 광전변환소자(photovoltaics) 등으로 말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태양전지를 태양열전지라고 하는 것은 틀린 것입니다.
태양전지의 장단점은 어떤 것이 있습니까?
장점으로는 첫째, 태양빛이 있는 곳에 설치하는 무공해 에너지이고, 둘째, 향후 유지비용이 거의 들지 않고, 다음으로 반영구적이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많은 태양광을 받기 위하여 많은 공간이 필요하고 아직까지는 설치비용이 비교적 크다는 단점입니다. 설치비용이 다소 크지만 설치후 15년간 발전차액 지원금을 받을 수 있고, 향후 태양전지 가격 하락이 예상되므로, 태양전지 보급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2